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소서 검색 1위 맞춤법 - 되다 돼다 뵈다 봬다 든지 던지

그 날의 가격 표와 메뉴 판

by 래비트 2024. 1. 4. 16:02

본문

자소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전 한국어 맞춤법 바로 알기. 가장 혼동스러운 3가지 맞춤법 부동의 검색 1위. 되다 돼다 뵈다 봬다 든지 던지 예시를 통해 똑바로 이해하고 기억하기.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이력서 사업계획서 등 글의 품격 높이기

 

 

 

 

 

 

 

 

 

 

 

 

 

 

자소서 맞춤법 한국어 되다 돼다 뵈다 봽다 든지 던지 이력서 사업계획서
자소서 맞춤법 한국어

 

 

 

 

 

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해야 하는 이유

 맞춤법은 글이나 문서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하다. 올바른 맞춤법은 글을 읽는 사람이나 수신자가 내용일 정확히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회생활에서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할 경우 글의 전문성과 신뢰성이 강조되며 글쓴이의 신뢰도 함께 높일 수 있다.
 근거나 주장을 더 강화할 수도 있는 수단이 맞춤법이다. 사회생활에서나 일상생활에서 더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도록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하도록 노력해보자.

 

 

 

 

 

 

맞춤법 되다 VS 돼다

돼는 되어의 줄임말이다.

 "되다"와 "돼다"는 모두 동사 "되다"의 변형이다.
두 형태 모두 같은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되다'의 어간 '되-'뒤에 어미 '-었-'이 붙을 경우,
'되었다'에서 '되어'가 '돼'로 줄어들면서 '됐다'가 된것이다.

 

  • 떡볶이가 다 됬다. (X)
  • 떡볶이가 다 되었다. (O) 됐다(OK) 

 

 

 

 

되다 vs 돼다 구분법 - 1번

되는 반드시 어미가 필요하고, 돼는 어미가 필요없음. 즉, 되는 문장 마지막에 올 수 없다. 돼만 가능하다.

  • 저 선을 넘어가면 안되. (X)
  • 저 선을 넘어가면 안돼. (O) 

 

 

 

 

되다 vs 돼다 구분법 - 2번

문장에 "되어"를 넣어 말이 되는 문장인지 확인해 보자. 

  • 이 책을 읽어도 되요? (X)
    이 책을 읽어도 되어요? (O) 돼요 (OK)
  • 부자가 되고 싶다. (OK)
    부자가 돼어고 싶다. (X)
  •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다. (OK)
    얼음이 녹아서 물이 돼어다. (X) 돼다(X)

 

 

 

 

되다 vs 돼다 구분법, 3번

문장에 하와 해를 넣어 말이 되는지 구분해보자.
하를 넣어 말이 되면 >> 되
해를 넣어 말이 되면 >> 돼

 

  • 운동을 매일 해야하(X) 해야되(X)
  • 운동을 매일 해야해(O) 해야돼(OK)
     
  • 횡단보도 앞에서 멈춰야하(X) 멈춰야되(X)
  • 횡단보도 앞에서 멈춰야해(O) 멈춰야돼(O)

 

 

 

 

 

 

아이폰 통화 녹음 이제 됨 
AI가 통화 요약까지 가능
무료 이용 가능한지 둘러보기

 

 

 

 

 

 

 

맞춤법 뵈다 VS 봬다

 뵈다는 '보이다'의 줄임말이다.
'뵈다'의 '뵈'뒤에는 바로 뒤에 보조사 '-요'가 붙을 수 없다.
하지만 '뵐게요'는 '뵈다'에 'ㄹ게요'가 붙은 올바른 맞춤법이다.

 '뵈다'기본형에 '-었다'가 붙는 경우, '뵈었다'이다.
이 때, '뵈었'이 '뵀'자가 되어 '뵀다'라고 한다.

하지만 '뵈다'기본형에 '-ㅂ다'가 붙는다면 '뵙다'가 올바르다.

 

  • 내일 뵈요(X)
    내일 뵈어요(O) 봬요(OK) 
  • 내일 뵐께요(O)
    내일 봴께요(X) 
  • 어제 뵛다(X)
    어제 뵀다(O) 
  • 어제 그 분을 뵙기로 했다.(O)
    어제 그 분을 봽기로 했다. (X)

 

 

 

 

 

 

맞춤법 든지 VS 던지

일단 '든'과 '던'의 차이점이다.


'든' 선택이나 조건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이다.
'던' 과거 회상을 나타내는 어미이다.


'든지' 는 어떤 것을 선택하더라도 별 차이가 없을 때 사용한다.
'던지' 는 과거의 일을 회상하거나 추측할 때 사용한다.


'든가' 는 어떤 것을 선택해도 상관이 없을 때 사용한다.
'던가' 는 과거의 일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때 사용한다.

 

 

 

  • 그 사람이 오든 말든 나는 괜찮아. 
    그 사람이 왔었던 이유.
  • 고기를 넣든지 말든지 다 좋아.
    고기가 얼마나 들었던지.
  • 먹든가 말든가 좋을 대로 해.
    우리가 이것을 먹었던가.

 

 

 

 

 

 

자소서 이력서 사업계획서 제출 전 -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사용하기

 

 자소서, 자기소개서, 이력서, 사업계획서 등 글을 작성하고 읽는 것은 삶에서 뗄 수 없는 중요한 소통 방법이다. 글을 작성하는 사람과 읽는 사람의 신뢰감을 형성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글의 핵심 내용, 진정성, 잘 짜여진 구조 등이 있다. 하지만 가장 쉽게 신뢰도를 쌓을 수 있는 혹은 무너뜨릴 수 있는 부분은 맞춤법이다.
 맞춤법은 글의 정확성을 향상하며 독자가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맞춤법이 틀릴 경우 글을 읽는 호흡이 깨지면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 일일히 수동으로 교정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적으로 글의 품격을 올려보자.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바로가기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가 교정 가능한 부분 4가지 및 유용한 기능

 교정 결과 화면에서 오른쪽 부분에 네모 겹침 아이콘을 클릭하면 교정 결과가 그대로 복사(ctrl + V 기능과 동일) 교정과 수정이 수월하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바로가기

  1. 맞춤법 - 빨간글씨
  2. 표준어 의심 - 보라색글씨
  3. 띄어쓰기 - 녹색글씨
  4. 통계적교정 - 푸른글씨

관련글 더보기